블로그 칼럼 썸네일형 리스트형 빈센트 페라리 AOL 상담원과의 통화내용 동영상 더보기 블로그마케팅의 치명적인 10가지 실수 블로그마케팅의 치명적인 10가지 실수 1.표적 고객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블로그 2.경쟁자를 제대로 파악하고 감시하지 못하는 블로그 3.시장 중심적이지도,고객 지향적이지도 않은 블로그 4.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를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는 블로그 5.새로운 기회를 찾는 데 미숙한 블로그 6.마케팅 계획과 그 수립 과정에 결함이 있는 블로그 7.제품과 서비스 정책에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는 블로그 8.브랜드 만들기나 고객과의 의사소통 기술이 취약한 블로그 9.효율적,효과적으로 실행되지 않는 블로그 10.기술력을 최대한 활용하지 않는 블로그 “블로그마케팅의 핵심은 브랜드 구축에 달려있으며, 브랜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블로그마케팅의 시작이자 끝이다.” 필립 코틀러의 "마케팅의 치명적인 10가지 실수"을 블.. 더보기 블로그 에피소드_소셜 미디어의 파워 블로그 에피소드_소셜 미디어의 파워 이 정도면 '곰찰'이 ....ㅋㅋ 빈센트 페라리는 2006년 6월 13일에 AOL 사용 계약을 해지하기로 결정했다. 활발하게 블로그 활동을 하고 있던 그는 우연히 AOL 고객 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듣게 되었다. AOL의 강한 압박 전략은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 AOL의 상담원들은 고객이 계약 해지를 하지 못하도록 매우 철저하게 훈련을 받았던 것이다. 페라리는 그런 AOL 상담원과의 전화 내용을 녹음해 두면 재미있는 실험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만일 대화 내용이 재미있으면 몇몇 친구들에게도 들려주면서 웃어볼 작정이었다. 그는 별다른 생각 없이 녹음을 했다. 그렇게 시작한 AOL 상당원과의 전화 통화는 엄청난 후폭풍을 몰고오게 되었다. 페라리의 전화를 받은 상담원은 계약.. 더보기 홈페이지 시대는가고 블로그 형식의 웹2.0 홈로그 시대가 열리고 있다 (블로그 소프트웨어 제작업체 TNC 홈로그) 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반은 닷컴 기업들의 대거 등장과 함께 너도나도 홈페이지 하나 쯤은 가지고 있어야 했다 어떤 기업 들에게는 홈페이지가 비지니스 수단 이었고 어떤 기업들에겐 단순한 회사소개용이나 명함의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웹상에 홈페이지 하나 없는 기업은 왠지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인상을 받아 누구나 홈페이지 하나쯤은 가지고 있어야만 했다. 아울러 웹디자이너 웹프로그래머 웹마스터 등의 신종 직업군이 생겨났고 수많은 젊은이들이 새로운 직종에 도전을 하게 되었고 이제는 수요대비 인력의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웹디자이너들은 새로운 3d 업종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시대에 이르렀다. 웹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검색엔진의 중요성은 갈수록 강화되었고 홈페이지 또한 마.. 더보기 블로그란 무엇인가? 블로그가 나온지 한참이 지났는데 왜 갑자기 뜬금없이 블로그란 무엇이냐는 화두를 던진다고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블로그에 대한 글을 쓰기 시작하기로 한 이상 블로그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정립 없이는 블로그에 대한얘기를 할 수 없을거 같다 블로그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오프라인에서도 많은 분들에게 던졌다 다양한 대답들이 나왔다 대부분의 답변이 매체이며 1인미디어다 그리고 사람의 마음을 얻는다는 특이한 답변도 나왔다. 먼저 블로그의 등장 배경에 대해 우리는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처음 웹이 활성화 되기 시작했을때 개인들을 위한 웹도구는 그리 많지 않았고 활성화 되어 있지도 않았다. 닷컴기업의 광풍이 몰아 닥치면서 기업들을 위한 홈페이지들의 붐이 이루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비지니스를 하는 기업들이 웹상에서 .. 더보기 웹2.0 시대에 모든것은 블로그로 통하게 될 것이다. 웹2.0 시대에 왜 모든것이 블로그로 통한다고 주장할까? 조금은 쌩뚱 맞다고도 여길 것이다. 하지만 이건 진실이다. 자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이런일이 일어나게 될지 예측해 보도록 하자! 웹2.0 시대의 아주 중요한 특징중에 하나는 기존의 모든 기득권을 부수고 있다는 점이다. 간단하게 미디어 쪽을 예를들어보자 웹2.0 시대 이전에는 나의 글을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책을 출판하거나 신문에 칼럼을 기고하거나 TV라는 매체에 나의 콘텐츠를 공급해야만 가능했다. 하지만 이제는 블로그라는 미디어적 성격이 강한 개인화 도구에 의해 기존의 미디어 권력이 주저 앉고 있다 이제 사람들은 자신이 쓴글을 신문사 처럼 마음대로 발행할 수도 있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만을 스스로 편집해서 받아 볼 수 있게 되었다. RSS 라.. 더보기 이전 1 다음